Cultural Performance (National Gugak Center) Sujecheon, 특별 문화 공연 (국립국악원) 수제천

Details
Title | Cultural Performance (National Gugak Center) Sujecheon, 특별 문화 공연 (국립국악원) 수제천 |
Author | 주뉴욕총영사관 Korean Consulate General in NY |
Duration | 17:31 |
File Format | MP3 / MP4 |
Original URL | https://youtube.com/watch?v=jHW-vmkSCZc |
Description
Cultural Performance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for the virtual celebration of the 4353rd anniversary of the Korean National Foundation Day
National Gugak Center Court Music Orchestra - “Sujecheon” (Long Life as Everlasting as the Sky)
국립국악원 정악단 - “수제천(壽齊天)”
[“Sujecheon” (Korean Traditional Court Music) / 수제천(壽齊天)]
“Sujecheon” is one of the most well-known and representative works of the court music repertoire. It was performed with a full orchestra on several key occasions, such as royal banquets, royal processions, and formal state ceremonies in the Joseon Dynasty.
“Sujecheon” expresses the wishes for “long life as everlasting as the sky.”
수제천은 대표적인 관악합주곡 가운데 하나로 원곡명은 ‘정읍(井邑)’입니다. 고려시대 궁중에서 추던 ‘무고(舞鼓)’의 창사(唱詞: 무원들이 부르는 노래)인 ‘정읍사’를 노래하던 음악이었습니다. 조선 중기 이후로 노래는 부르지 않고 관악합주로만 전승되어, 현재는 순수 관악합주곡 또는 궁중무용의 반주음악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수명이 하늘처럼 영원하기를 기원하는 의미의 제목을 가진 이 음악은 궁중의례와 연향에 사용되었습니다.
수제천은 전체가 4장으로 되어 있는데, 1 · 2 · 3장의 마지막 장단에서 피리와 대금이 교대로 유장한 가락을 연주하는 독특한 선율진행 방식인 연음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장단의 길이가 다른 불규칙 장단을 가지고 있어서, 장구를 연주자와 피리를 연주하는 수석(首席) 연주자와의 호흡이 매우 중요합니다.
연주에는 대금 · 소금 · 향피리 · 해금 · 아쟁 · 장구 · 좌고 · 박 등이 편성되며, 처용무를 반주할 때는 삼현육각으로 편성하기도 합니다.
[National Gugak Center / 국립국악원]
National Gugak Center (NGC) is the headquarters of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s. As a national institution, NGC was first established as Eumseongseo during the Silla dynasty (7th Century), which later became the Daeakseo of the Goryeo dynasty (10th Century) and then the Jangagwon of the Joseon dynasty (15th Century) before becoming known as it is today.
NGC maintains a variety of assets ranging from the long-standing traditions of court and popular music and dance to contemporary musical compositions for today’s audiences.
국립국악원은 신라 시대 음성서(7C)로 출발해 고려 시대 대악서(10C), 조선 시대 장악원(15C)을 거쳐 오늘날의 모습으로 자리 잡아 온 국가 기관으로, 오랫동안 전승해 온 궁중 음악과 민간 음악, 춤은 물론 현대인들을 위한 창작 음악 등 다양한 문화 예술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고의 기량을 갖춘 정악단, 민속악단, 무용단, 창작악단의 4개 예술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Source: National Gugak Center
출처: 국립국악원